
안녕하세요. 정진 센터입니다. 고정익 항공기의 모터와 프로펠러를 선정하는 것은 생각보다 어려운 일이라 생각합니다. 일단, 항공기의 순항상태를 알아야 합니다. 기존에 제가 항공기의 Trim condition 계산하는 방법을 올려두었으니 참고해주시면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방법으로 항공기의 Trim condition 알아냈다면 우리는 이제 항공기의 받음각+엘리베이터 각도에 대한 순항속도와 요구 추력을 알 수 있습니다. 프로펠러를 선정함에 있어서 순항속도와 요구 추력이 중요합니다. 순항속도와 요구추력을 알아야 모터, 프로펠러를 결정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 많은 사람들이 혼동하는 것이 요구 추력입니다. 고정익 항공기에서 요구 추력은 Trim condition으로 비행중일 때, 그 때의 추..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NAVION 설계는 진작 끝났지만 지금에서야 제작을 하게 됩니다. 너무 늦게 글을 올리게 되어 죄송합니다. 사실 좀 더 완벽하게 설계하고 싶었는데 급하게 마무리한 감이 있습니다. 나중에 비행 실험까지 진행할 계획이라 설계에 부족한 부분은 너그럽게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ㅠ 우선 설계 사진 몇 장 보여드리겠습니다. 설계는 위의 이미지와 같이 진행되었고 노란색부분은 covering film이나 발사 1T를 붙인 것을 표현한 것입니다. 캐노피는 3D 프린터로 뽑았습니다. 내부 채움은 0으로 했지만 무게가 좀 나가서 나중에 경량화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주 날개에 Le라고 네임팬으로 적어두었는데요. 랜딩기어 위치고 튼튼하게 항공합판을 사용했고 끝부분에 스트링거 보강을 해주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오랜만에 글을 씁니다. 요즘 3D 프린팅 RC 비행기에 관심이 커져가고 있습니다. 옛날부터 초, 중, 고등학생과 같은 청소년들에게 양질의 RC 비행기를 체험시켜주고 싶은 생각이 있었습니다. 왜냐면 제가 그때 고가의 RC비행기를 경험해보지 못한 한이 있기 때문입니다. 4차 산업혁명이 도래하고 3D프린터에 세간의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저는 3D 프린터의 가격이 앞으로 점점 더 떨어질 것으로 전망합니다. 잉크 프린터에서 레이져 프린터로 변하듯이 비슷하게 말이죠. 정진센터의 설립목적과 앞으로의 발전에 3D 프린터 비행기는 좋은 수단이 될 것 같습니다. 사실 공짜로 풀지, 가격을 받고 팔지 고민을 많이 하고 있습니다 ㅎㅎ 살지 안살지도 모르는데 이러고 있습니다 ㅋㅋ 그러나 3D 프린..

1편 안보신분은 아래링크 참고해주세요 https://jj-center.tistory.com/47 [프로젝트1-17] NAVION에 필요한 물품 구매현황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NAVION 프로젝트는 끝나지 않았습니다. 일정보다 천천히 진행 중에 있으며 기다리시는 분들에게 죄송하여 최근 도착한 기체에 사용할 부품들에 대해서 간략하게 소�� jj-center.tistory.com 7. ESC (electronic speed controller) ESC는 electronic speed controller의 약자로 보통 전기모터의 속도를 조절해주는 장치입니다. 보통 모터 --- ESC ----배터리 순으로 연결됩니다. 모터에서 최대 48A가 발생하기 때문에 이론상으로는 48A짜리 ESC를 사도 무방하지만 실..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오랜만에 글을 씁니다. 죄송합니다ㅠ 요즘 워존이 너무 재밌습니다. 비행기 그리는 것보다 재밌어서 어쩔 수 없었습니다. 이실직고합니다 ㅎㅎ.. 그것도 그거지만 지금 비행기의 형상이 참 까다롭게 되었습니다. 저번 글에서 에일러론 마무리로 날개를 벗어나려고 했는데 에일러론 부분에 문제가 너무 많아서 쉽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일단 오늘 최대한 작업해보고 되는 대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이번 글에서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간단하게 설계하실 때 이 부분을 고려해 주시면 좀 더 완성도 있는 비행기를 만들 수 있다는 것 이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그림 1과 그림 2는 스파와 리브의 연결 부분입니다. 리브는 빨간색이고 스파는 회색입니다. 보시면 스파가 리브보다 조금 작은 것을 보실..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원래 일요일이랑 수요일에 글을 올리려고 했는데 제가 개을러서 늘 늦어지는 것 같습니다.최대한 주에 글 2개씩 올리는 것을 목표로 열심히 해보겠습니다. 못 믿으시겠지만 토요일 일요일에 분명히 10시간씩 작업을 했습니다.그 시간 동안 뭐했냐고 물어보신다면 흠.. 작업과 수정을 반복하고 고민했다고 밖에 말씀드릴 수가 없네요. 제 능력이 부족한 탓이겠죠. 그래도 제가 이렇게 글을 올리는 이유는 일단 재밌어서 입니다. ㅎ비행기를 그리는 것, 사실 그 자체로도 저에게 꿀잼입니다. 하지만 전공자로서 계속 구조 및 제작에 용의성을 생각하다 보니 조금씩 늦어지는 것은 사실입니다.저는 제 글을 읽으시는 분들에게 크게 4가지를 전달하고자 합니다. 1. CATIA로 비행기를 그리는 방법2. 비행기..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요새 시간이 없어서 작업을 많이 못했습니다.그래도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 작업을 조금 진행했습니다.너무 피곤해서 진행사항만 간단하게 말씀드리고 글을 맺겠습니다. 우선 사진부터 보시죠 위 그림 1,2,3과 같이 에일러론의 디데일 한 부분을 작업하고 있습니다.일단 완성된건 아닙니다.이것저것 시도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진행한 건 기존 리브 간격 사이에 리브를 하나씩 추가했습니다.아무래도 하중이 많이 작용하기 때문에 그렇게 했습니다.그리고 위 아래로 플랜킹(planking)이라고 하는 1T 발사 평판을 붙여서 강도를 더할 것이고 리브 앞전으로 항공 합판 3x5mm인스파 형태의 스트링거를 더하여 구조강도를 높일 것입니다.사실 트러스형태로 리브를 지그재그로 넣어주면 비틀림에 있어서 더 큰 강도..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요 며칠간 글을 못 올렸는데 작업은 계속하고 있었습니다. 사실 3차원 형상을 2차원 판자를 깎아 만드는 과정 즉, 제작과정에서 어떻게 하면 더 쉽게 만들 수 있을까를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이제 진전이 조금있으니 몇 가지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지금까지 진행된 사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림 5의 회색 부분은 날개의 뒷전(trailing edge)입니다. 뒷전은 보통 1T 발사나무를 이용해서 만듭니다. 레이저 커팅을 하든 CNC를 이용하든 발사판을 윗에서 아래로 가공하기 때문에 모델링 한대로 정확하게 만드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고민을 많이 해봤는데 결국은 리브(Rib)의 그림 5를 기준 오른쪽 면의 결합부에 딱 맞도록 만들었습니다. 빨간색 동그라미를 보시면 오른쪽..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오늘은 프로젝트 1-5에서 말씀드렸던스파를 그리는 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글을 읽기 전에 홈페이지 홈에 있는 구독하기 버튼을 눌러서 구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ㅎㅎ(설계가 끝나면 도면을 공유할 예정입니다!) 우선 진행사항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림 1~4는 지금까지 진행된 NAVION 한쪽 주날개입니다.추가적으로 그린것1. 전방스파2. 후방스파3. 앞전 카본 보강재(carbon batten)이렇게 3개를 추가적으로 그렸습니다. 재료는 발사나무와 항공합판(plywood)을 대부분 사용했고 카본보강재도 앞전에 사용했습니다. (twist때문에 빼도록 결정했습니다. ㅠ) 동체쪽 리브 4개는 항공합판으로 하여 랜딩기어에서 발생하는 큰 하중을 견기도록 했습니다..

오늘 하루도 편안하게 보내셨나요 ㅎ 정진센터입니다. 어제에 이어서 오늘도 작업을 진행했습니다. 카티아 도면을 그리면서 단순히 똑같이 그리는 대에만 노력하시면 나중에 비행기를 만들때 상당히 난감해질 수 있습니다. 제 경험담이기도 합니다. 무턱대고 1학년때 RC비행기를 만들어보겠다고 아무런 노하우없이 카티아 그리는 노력만 열심히 했었던 때가 있었습니다. 결과는 참담했습니다. 당연한 결과였던거죠 혹시 제 블로그를 보시는 분들중 그때 저와같은 상황이시라면 이 글을 끝까지 봐주시길 바랍니다. 디자인 감각에 큰 도움이 되시리라 생각합니다. 우선 오늘 작업상황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늘은 부품 A~M까지 동체부품을 모두 그렸습니다. 그리고 engine mount역할을 하는 2개의 막대도 추가로 그렸습니다. 오늘도 역시..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오랜만에 카페로 비행역학 공부를 하로 갔었습니다. 커피 한잔 하면서 책을 읽으니 기분이 좋더군요 ㅎㅎ 그러다 문뜩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올해 1년동안 쉬면서 뭘 하면서 보내면 좋을까?뭘 하면서 보내면 재밌을까? 이런 생각을 하다 결국 도달한 곳은 RC 비행기 만들기였습니다.당장 저에게 있는 건 Taranis 조종기와 2개의 모터밖에 없었기에배터리 충전기, 배터리, 서보모터, 수신기가 필요했고저는 연구를 하던 사람이라 [속도, 받음각, 피치, 피치 각속도, 고도, 옆 미끄러짐각, 뱅크각, 롤 속도, 요속도, 헤딩각]에 해당하는 비행 중에서 얻어지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할 기억장치가기본적으로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갑자기 가슴이 뛰기 시작했습니다.최근 조금 우울했는데 다..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릴 것은 자작 rc비행기를 계획하시거나 즐기시던 분들을 위해서 한 사이트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https://aerofred.com/ AeroFred - Model Airplane Plans Sharing Community Download and Share free model airplane and boat plans. Featuring thousands of radio control, control line and free flight freely downloadable plans, 3views and blueprints for model builders. aerofred.com 위 링크로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맨위에 사이트 로고가 ..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비행기가 얼마나 튼튼하지 어떻게 알 수 있을까요? 현대 과학에서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1. 유한요소해석 유한 요소 해석은 컴퓨터의 빠른 계산속도를 이용해서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는 물체에 작용하는 하중을 계산하는 방법입니다. FEM(Finite Element Method)라고 하며 3차원으로 그려진 형상을 매우 작은 격자로 나누어 각 격자마다 작용하는 하중을 계산하여 수치적으로 나타내는 기법입니다. 이 방법을 사용하려면 최소 석사과정을 마친 항공기 구조 연구실 출신 학생이어야 높은 정확도로 해석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초, 중, 고등학생을 포함한 일반인이 이 프로그램을 정확하게 사용하는 것은 무리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번 구조실험에서 이 방식은 생략하도록 하며 나중에..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예전에 태양광 무인기 제작과정을 올렸어야 했는데 빨리 올리지 못해서 죄송합니다.. 몇가지 이유가 있습니다. 일단 제작에 시행착오가 많이 있어서 완벽하게 만드는 과정을 보여드리지 못할 것 같아서 여러번 망설여졌었는데 큰 흐름과 문제가 있는 부분은 선별하여 소개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CATIA로 설계한 3D 비행기를 부품별로 따로 2D dxf파일로 만들어 레이져커팅의 사전작업을 해 usb에 잘 넣어 두고 가까운 창조혁신센터에 들러 무료로 레이저커팅을 진행했습니다. 이 레이저 커터는 그림3의 프로그램을 통해서 커팅위치와 재질을 선택할 수 있었습니다. 심지어 wood 항목에 balsa wood가 있어서 비행기 제작에 많이 사용되는 balsa 나무 항목도 있어 편리했습니다. 동영..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고무동력기 좋아하시나요? 고무동력기 어디까지 만들어보셨나요? ㅎㅎ 아마 대부분은 초등학생때 혹은 중학생때 댓살 초등용 고무동력기까지 만들어보셨을 겁니다 이번에 소개해 드릴 고무동력기는 무려 국제 규격 고무동력기(F1B)입니다 이 규격은 국제 항공 연맹(FAI)에서 정하였고 오랜 기간동안 대회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http://www.k-ama.org/sub.asp?pagecode=m05s01&b_idx=1514&vmode=view&bs_code=board03& ∵∴한국모형항공협회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2019 자유비행(F1) KOREA CHAMPIONSHIPS *주 최 : 한국모형항공협회*주 관 : 한국모형항공협회 자유비행(F1)분과*일 시 : 2019.12.7(토) 09:00..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RC비행기를 좋아하시는 분들중에서 Free Flight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이 계신것 같아서 이번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흔히 '비행기를 가지고 논다','비행기를 취미로한다' 라고 한다면 비행기 프라모델이나 RC비행기를 생각하실겁니다 하지만 하늘을 나는 비행기를 취미로 삼고 싶으시다면 꼭 RC비행기만이 정답은 아닙니다 일단 자유비행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FAI (Fédération Aéronautique Internationale)즉, 국제 항공 연맹에 대해서 아셔야합니다. 국제 항공 연맹은 1905년 6월 벨기에 브뤼셀에서 연린 올림픽 위원회에서 처음으로 항공스포츠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습니다.그리고 같은 해에 미국, 프랑스 외에 6개국이 설립을 결정하여 지금까지 항공..

난 비행기를 설계할 거야 !! 제 어렸을 때 작은 포부였습니다. 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지방대라 대학교 이름은 생략 ㅋ)에 진학 했을 때에도 제 꿈은 계속 됬습니다. 하지만 지금 되돌아 보면 비행기를 설계한다는 것이 너무 어렵다는 것을 잘 알게 되었습니다. 작은 포부가 아니였던 것이죠.. 그래서 많은 사람들이 비행기의 원리를 설명할때 너무 단순하고 정확하지 않게 설명하는 경우를 많이 봤습니다. 저는 정진센터를 통해서 정확한 내용들을 쉽게 풀어가는데 최선을 다할 것입니다. (너무 힘든건 사실입니다 ㅠㅠ) 비행기를 이해하려면 뭐니뭐니해도 날개를 이해해야되겠죠? ㅎ 저는 그림1 처럼 날개가 큰 비행기를 좋아합니다. 뭔가 잘날거 같기도 하고 멋있기도 하거든요 (아님말곸) ㅎㅎ 물론 그림1처럼 날개가 엄청 클 필..

7. Wing pitching-moment coefficient about its aerodynamic center ${{C}_{{{m}_{AC}}}}$ \[{{C}_{{{M}_{ac}}}}=\] \[\frac{2}{S\bar{c}}\left( \int_{0}^{b/2}{{{C}_{{{m}_{ac}}}}\left( y \right){{c}^{2}}\left( y \right)dy-\int_{0}^{b/2}{\left[ {{C}_{{{l}_{\alpha }}}}\left( y \right)\left( {{\alpha }_{{{0}_{wing}}}}+\varepsilon \left( y \right)-{{\alpha }_{0}}\left( y \right) \right)\left( {{x}_{ac}}\lef..

3. Wing lift effectiveness ${{C}_{{{L}_{\alpha }}}}$ at Mach number ${{M}_{\infty }}=0.2$ Wing lift curve slope ${{C}_{{{L}_{\alpha }}}}$ in subsonic flow → lifting line theory를 수정해서 만들어짐 \[{{C}_{{{L}_{\alpha }}}}=\frac{2\pi A}{2+\sqrt{\frac{{{A}^{2}}{{\beta }^{2}}}{{{\kappa }^{2}}}\left( 1+\frac{{{\tan }^{2}}{{\Lambda }_{c/2}}}{{{\beta }^{2}}} \right)+4}}\left( /rad \right)\] \[\beta =\sqrt{1-M..

현대 비행 역학(modern flight dynamics)에서 example 5.4는 비행기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많은 요소들이 있습니다. 일단 위의 문제를 풀기 앞서서 미리 알아야 할 것은 비행기 함수로 만들기 (용어정리)에서 다루었으니 잘 모르는 분들은 한번 읽고 와주시길 바랍니다. ㅎ (내용이 어려워서 너무 죄송합니다...ㅠ) 문제 : 다음의 특징들을 가지고 있는 swept wing을 고려하여 1. Straight leading and trailing edges 2. Leading-edge sweep angle ${{\Lambda }_{LE}}=26.6\,deg$ 3. Taper ratio $\lambda =0.5$ 4. Root chord length ${{C}_{r}}=7.5ft$ 5. Spa..
안녕하세요~ 두번째로 글을 올립니다. 이번 글은 "태양광 글라이더"를 어떻게 설계했는지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국내에서 태양광 비행기의 개발은 항공우주연구원과 항공대학교에서 진행해왔습니다. 다만, 실제 설계하는 디테일한 내용은 논문을 읽어도 쉽게 알기 어렵습니다. 그러던 와중 취리히 공대(ETH zurich)의 Noth, Andre박사 학위논문 "Design of solar Powered Airplanes for Continous Flight"를 발견하여 참고하게 됬습니다. "Design of solar Powered Airplanes for Continous Flight"(이하 Noth논문)에는 박사학위 논문 답게 디테일한 내용을 많이 실고 있습니다. 제목에서 말하다 싶이 "연속비행을 위한 태양광 비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