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NAVION 수직 꼬리 날개 분석 저번 글에서는 NAVION의 수평 꼬리날개를 주익과 같은 방식으로 분석하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수직 꼬리날개를 분석하겠습니다. 수직 꼬리날개의 특징점은 양력이라는 말을 횡력이라는 말로 바꾸어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저도 좀 헷갈립니다. 하지만 이 또한 주익과 계산방식은 똑같습니다. 다만 양력이 횡력(Sideforce)으로 바뀐다는 점만 빼고 말입니다. 그림 27과 28을 보시면 감이 오실 겁니다. 양력이 횡력으로, 받음각이 옆 미끄러워 짐 각으로 바뀐 것이죠. 여기서 비행기에 대한 물리적 이해를 덧붙여봅시다. 수직 꼬리날개는 주로 대칭형 에어포일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수평비행 시, 옆 미끄럼 짐 각이 거의 모든 비행기에서 0도입니다. 이런 이유는 비행 중에 지..

NAVION 수평 꼬리 날개 분석 주 날개의 에일러론과 플랩은 저번 글에서 다루었습니다. 이제 같은 방식으로 꼬리날개를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수평꼬리날개의 에어포일(Airfoil)은 NACA0012를 사용합니다. 그런대 책에 2차원 양력선 기울기 등의 데이터가 없습니다. 이럴 경우에 XFLR5를 통해서 구해주면 됩니다. 12. XFLR5를 통한 에어포일 공력 분석 XFLR5로 양력계수등 공력계수를 뽑는 방법은 간단히 영상으로 대체하겠습니다. XFLR5로 공력데이터 뽑기 그림 18는 XFLR5로 뽑은 NACA0012 에어포일의 CL(양력계수) vs Angle of attack(받음각)의 그래프입니다. 이 데이터는 이 비행기의 레이놀즈수인 8,000,000에 해당합니다. 받음각은 0도에서 15도까지 수..

주익 조종면 해석 이어 가겠습니다. 12. 플랩 피칭 모멘트 효과 (Flap pitching moment effectiveness, ${ { C }_{ { { M }_{ \delta F } } } }$)와 플랩 항력 효과 (Flap drag effectiveness, ${ { C }_{ { { D }_{ \delta F } } } }$) 그리고 에일러론 요잉 모멘트 효과(Aileron yawing moment effectiveness , ${ { C }_{ { { N }_{ \delta A } } } }$) 먼저 플랩 피칭 모멘트 효과 (Flap pitching moment effectiveness) ${ { C }_{ { { M }_{ \delta F } } } }$에 대해서 생각해봅시다. 플랩을 움직..

저도 그렇고 대부분의 사람들도 아마 이런 수식만 가득한 글을 읽는 것이 고통스러울 것입니다. 하지만 이 수식들은 여러 책의 내용 중 핵심만을 정확하게 전달하기 위해서 쓰이고 있습니다. 어떤 사람에게는 이 글이 절실할태니까요! 8. 날개 피칭 모멘트 계수 (Wing pitching moment coefficient), ${ { C }_{ { { M }_{ AC } } } }$ $${ { C }_{ { { M }_{ AC } } } }=\frac { 2 }{ S\overline { c } } \left( \begin{align} & \int _{ 0 }^{ b/2 }{ { { c }_{ { { m }_{ ac } } } }\left( y \right) { { c }^{ 2 } }\left( y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