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이번에 처음으로 부산에서 열리는 드론쇼 코리아에 다녀왔습니다. 국내에서 열리는 드론 및 무인기 박람회 중 규모가 가장 큰 곳으로 유명하며 매년 열리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사실 국내 박람회는 대부분 참여업체나 전시되는 기체들이 다 비슷비슷하여 이번에는 대기업보다는 유망하고 신기한 중소기업 위주로 탐방하였습니다. 바쁜 일상으로 참가하지 못한 분들은 참고하셔서 내년에는 꼭 참석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 ㅎㅎ 저는 사전등록을 하고 가서 fig.2처럼 생긴 등록기로 간편하고 빠르게 등록하였습니다. 이때 명찰도 출력해서 주십니다. 한국의 고정익, 드론 유망기업 제가 직접 여쭤보고 확인해본 것을 토대로 작성했습니다.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 것은 기체를 직접 만드는가 아니면 중국에서 사 오는가..

NAVION 수직 꼬리 날개 분석 저번 글에서는 NAVION의 수평 꼬리날개를 주익과 같은 방식으로 분석하였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수직 꼬리날개를 분석하겠습니다. 수직 꼬리날개의 특징점은 양력이라는 말을 횡력이라는 말로 바꾸어 사용한다는 것입니다. 이 때문에 저도 좀 헷갈립니다. 하지만 이 또한 주익과 계산방식은 똑같습니다. 다만 양력이 횡력(Sideforce)으로 바뀐다는 점만 빼고 말입니다. 그림 27과 28을 보시면 감이 오실 겁니다. 양력이 횡력으로, 받음각이 옆 미끄러워 짐 각으로 바뀐 것이죠. 여기서 비행기에 대한 물리적 이해를 덧붙여봅시다. 수직 꼬리날개는 주로 대칭형 에어포일을 사용합니다. 그리고 수평비행 시, 옆 미끄럼 짐 각이 거의 모든 비행기에서 0도입니다. 이런 이유는 비행 중에 지..

NAVION 수평 꼬리 날개 분석 주 날개의 에일러론과 플랩은 저번 글에서 다루었습니다. 이제 같은 방식으로 꼬리날개를 분석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수평꼬리날개의 에어포일(Airfoil)은 NACA0012를 사용합니다. 그런대 책에 2차원 양력선 기울기 등의 데이터가 없습니다. 이럴 경우에 XFLR5를 통해서 구해주면 됩니다. 12. XFLR5를 통한 에어포일 공력 분석 XFLR5로 양력계수등 공력계수를 뽑는 방법은 간단히 영상으로 대체하겠습니다. XFLR5로 공력데이터 뽑기 그림 18는 XFLR5로 뽑은 NACA0012 에어포일의 CL(양력계수) vs Angle of attack(받음각)의 그래프입니다. 이 데이터는 이 비행기의 레이놀즈수인 8,000,000에 해당합니다. 받음각은 0도에서 15도까지 수..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오늘은 프로젝트 1-5에서 말씀드렸던스파를 그리는 방법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글을 읽기 전에 홈페이지 홈에 있는 구독하기 버튼을 눌러서 구독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ㅎㅎ(설계가 끝나면 도면을 공유할 예정입니다!) 우선 진행사항에 대해서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림 1~4는 지금까지 진행된 NAVION 한쪽 주날개입니다.추가적으로 그린것1. 전방스파2. 후방스파3. 앞전 카본 보강재(carbon batten)이렇게 3개를 추가적으로 그렸습니다. 재료는 발사나무와 항공합판(plywood)을 대부분 사용했고 카본보강재도 앞전에 사용했습니다. (twist때문에 빼도록 결정했습니다. ㅠ) 동체쪽 리브 4개는 항공합판으로 하여 랜딩기어에서 발생하는 큰 하중을 견기도록 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고무동력기 좋아하시나요? 고무동력기 어디까지 만들어보셨나요? ㅎㅎ 아마 대부분은 초등학생때 혹은 중학생때 댓살 초등용 고무동력기까지 만들어보셨을 겁니다 이번에 소개해 드릴 고무동력기는 무려 국제 규격 고무동력기(F1B)입니다 이 규격은 국제 항공 연맹(FAI)에서 정하였고 오랜 기간동안 대회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http://www.k-ama.org/sub.asp?pagecode=m05s01&b_idx=1514&vmode=view&bs_code=board03& ∵∴한국모형항공협회에 오신걸 환영합니다∵∴ 2019 자유비행(F1) KOREA CHAMPIONSHIPS *주 최 : 한국모형항공협회*주 관 : 한국모형항공협회 자유비행(F1)분과*일 시 : 2019.12.7(토) 09:00..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RC비행기를 좋아하시는 분들중에서 Free Flight에 대해서 잘 모르시는 분들이 계신것 같아서 이번 글을 작성하게 되었습니다. 흔히 '비행기를 가지고 논다','비행기를 취미로한다' 라고 한다면 비행기 프라모델이나 RC비행기를 생각하실겁니다 하지만 하늘을 나는 비행기를 취미로 삼고 싶으시다면 꼭 RC비행기만이 정답은 아닙니다 일단 자유비행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FAI (Fédération Aéronautique Internationale)즉, 국제 항공 연맹에 대해서 아셔야합니다. 국제 항공 연맹은 1905년 6월 벨기에 브뤼셀에서 연린 올림픽 위원회에서 처음으로 항공스포츠에 대한 논의를 시작했습니다.그리고 같은 해에 미국, 프랑스 외에 6개국이 설립을 결정하여 지금까지 항공..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저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RC비행기는 어떻게 만드는 지 많이들 궁굼해 하셨을 겁니다. 어떻게 하면 내가 혼자서 RC비행기를 설계부터 제작까지 할 수 있을까? 초,중,고등학생때까지는 기본적인 수학과 물리를 공부하면서 잠깐씩 나오는 비행기이론에 매료되어 뭔가 조금만 더 공부하면 비행기를 만들어 볼 수 있을 거라는 믿음이 생겼었던것 같습니다. 하지만 항공우주공학과에 들어와서 4년동안 공부를 했도 결론은 석사, 박사까지 가야된다는 말을 듣게 됬고 일부 교수님들은 자신도 비행기를 설계할 능력이 없다고 말씀하시기도 했습니다. 저는 절망에 가까운 실망을 감출수 없었습니다. 오랜 꿈을 금방 이룰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SCI급 논문을 40편식 써내신 교수님들 조차도 쉽게 만들 수 없다는 ..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본격 ADEX 리뷰를 하겠습니다. 저는 2019년 10월 18일 금요일에 ADEX 2019 [서울 항공우주 및 방위사업 전시회]에 다녀왔습니다. 한 마디로 말씀드리자면 비행기를 좋아하는 사람으로서 정말 천국같은 시간을 보냈습니다. 이것저것 볼 것이 너무 많아서 하루동안에 충분히 보기에는 무리가 있지만 여러분들께 자세하게 리뷰해드리기위해서 열심히 돌아다녔습니다. ㅎㅎ 거두절미하고 ADEX 2019에서 꼭 봐야할 것들에 대해서 말씀드리겠습니다. 1. KFX (한국형 전투기) 2. KUS-15 (한국형 중고도 무인기) 3. 한국형 F-35A (미국산 동종 최강의 전투기) 4. 수리온 (한국형 다목적 헬리콥터) 5. EAV-3 (한국형 태양광 무인 항공기) EAV-3는 축척된 모형입..
안녕하세요~ 두번째로 글을 올립니다. 이번 글은 "태양광 글라이더"를 어떻게 설계했는지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국내에서 태양광 비행기의 개발은 항공우주연구원과 항공대학교에서 진행해왔습니다. 다만, 실제 설계하는 디테일한 내용은 논문을 읽어도 쉽게 알기 어렵습니다. 그러던 와중 취리히 공대(ETH zurich)의 Noth, Andre박사 학위논문 "Design of solar Powered Airplanes for Continous Flight"를 발견하여 참고하게 됬습니다. "Design of solar Powered Airplanes for Continous Flight"(이하 Noth논문)에는 박사학위 논문 답게 디테일한 내용을 많이 실고 있습니다. 제목에서 말하다 싶이 "연속비행을 위한 태양광 비행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