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 안정 직선 비행의 분석 - 세로 트림 분석 (Longitudinal Trim analysis) 프로젝트1-29에서 하던거 이어서 하겠습니다. $$\begin{align} & { { \left. { { C }_{ D } } \right| }_{ \alpha =\beta ={ { i }_{ H } }={ { \delta }_{ E } }={ { \delta }_{ R } }=0 } } \\ & ={ { C }_{ { { D }_{ 0 } } } }+\frac { 1 }{ \pi { { A }_{ W } }{ { e }_{ W } } } \left( C_{ { { L }_{ W } } }^{ 2 }+C_{ { { L }_{ H } } }^{ 2 }\frac { { { A }_{ W } }{ { e }_{..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이번 주말은 동체 작업을 진행했습니다.동체를 잘 만드려면 날개와 마찬가지로 기준이 되는 정확한 형상정보가 필요합니다.저희는 내부 구조도 고려해야함으로 생각할 것들이 너무 많기 때문에이런 작업을 단순화해주는 것이 필요합니다.따라서 저는 이번 주말 동안 더 정교한 작업을 위해서 fuselage_reference 파트를 만들어 주었습니다. 먼저 지금까지 진행상황에 대해서 말씀드리고 어떻게 만들었는지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그림 1~3을 보시면 지금까지 작업한 NAVION 스케일 기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그림 4의 실제 NAVION과 많이 비슷한가요? ㅎㅎ 아마 좀 다르다고 느끼실 수 있습니다.그 이유는 날개 연결 부분의 동체 형상과 캐노피 즉, 조종석 쪽 창문 등이아직 완성되지 ..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이제 동체에 대해서 이야기를 시작해봅시다. 비행기를 설계하려면 개념설계가 선행되어야 합니다. 근대 저는 개념설계를 하지 않았습니다. 원래 있는 비행기를 scale down 하여 만들기 때문입니다. 스케일을 낮추면 뭐 다됩니까?라고 말씀하실 겁니다. 맞습니다. 다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항공역학적 관점에서 접근하면 1/10 스케일을 넘지 않는다면 공력특성은 변함이 없습니다. 특히 아음속 범위의 비행기는 공기가 압축하여 생기는 특성이 없기 때문에 더욱 신뢰할 수 있습니다. 그림 1은 세계 최고의 공대 MIT 공대의 라이트 형제 풍동실험실입니다. 저기 들어있는 비행기의 크기가 보이십니까? 실제 사이즈가 저만할까요? 아니겠죠 ㅋ 이는 1/10 이내의 스케일 모형입니다. 이렇게 스..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오랜만에 글을 씁니다. 죄송합니다ㅠ 요즘 워존이 너무 재밌습니다. 비행기 그리는 것보다 재밌어서 어쩔 수 없었습니다. 이실직고합니다 ㅎㅎ.. 그것도 그거지만 지금 비행기의 형상이 참 까다롭게 되었습니다. 저번 글에서 에일러론 마무리로 날개를 벗어나려고 했는데 에일러론 부분에 문제가 너무 많아서 쉽게 벗어나지 못하고 있습니다. 일단 오늘 최대한 작업해보고 되는 대로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이번 글에서 말씀드리고 싶은 것은 간단하게 설계하실 때 이 부분을 고려해 주시면 좀 더 완성도 있는 비행기를 만들 수 있다는 것 이것을 말씀드리고 싶습니다. 그림 1과 그림 2는 스파와 리브의 연결 부분입니다. 리브는 빨간색이고 스파는 회색입니다. 보시면 스파가 리브보다 조금 작은 것을 보실..

이 글의 수식은 티스토리 어플에서 보이지 않으니 크롬에서 읽어주세요.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오늘은 유난히 생각이 많아지는 날이였습니다. 날개설계는 거의 끝났는데 서보모터를 어떤걸로 골라야 할까? 이 질문에 명쾌하게 답을 못하겠더라구요. 아 물론 돈이 많다면 매우 큰 토크의 서보를 고르면 문제가 없을 겁니다. 하지만 저는 돈이 없기때문에 최대한 재료비를 줄여보고자 고민이 많았습니다. 그리고 정진센터를 찾아오시는 분들도 아마 가성비를 많이 찾으실 거라 생각하여 글을 작성하게 됬습니다. NAVION 주익의 조종면은 총 2개입니다. wing_tip쪽의 aileron과 바로 옆의 Flap입니다. aileron은 항공기의 선회 즉, Rolling 기동을 위해서 꼭 필요합니다. 그리고 Flap은 일명 고양력 장..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요 며칠간 글을 못 올렸는데 작업은 계속하고 있었습니다. 사실 3차원 형상을 2차원 판자를 깎아 만드는 과정 즉, 제작과정에서 어떻게 하면 더 쉽게 만들 수 있을까를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이제 진전이 조금있으니 몇 가지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지금까지 진행된 사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림 5의 회색 부분은 날개의 뒷전(trailing edge)입니다. 뒷전은 보통 1T 발사나무를 이용해서 만듭니다. 레이저 커팅을 하든 CNC를 이용하든 발사판을 윗에서 아래로 가공하기 때문에 모델링 한대로 정확하게 만드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고민을 많이 해봤는데 결국은 리브(Rib)의 그림 5를 기준 오른쪽 면의 결합부에 딱 맞도록 만들었습니다. 빨간색 동그라미를 보시면 오른쪽..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저번 프로젝트 1-1로 NAVION 만들기 프로젝트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앞으로도 1-2, 1-3... 1-n 형식으로 글을 써 나가도록 하겠습니다. 나중에는 100-10으로 넘버링되는 글도 볼일이 있었으면 좋겠습니다 자 본론으로 들어가서 지금까지 진행된 사항을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동체작업을 진행 중에 있습니다. 2일이나 지났는데 왜 이렇게 조금밖에 작업을 못했는지 궁금하실 겁니다. 저도 작업을 하면서 좀 더 쉽게 작업하는 방법을 생각하고 있기도 하고 참고한 도면이 정확한지 여부를 계속 확인하면서 작업하고 있기때문에 느린 편입니다. (하지만 많은 진척이 있습니다.) 우선 동체를 그리고 있기 때문에 총 3쪽의 도면중 그림 2, 3에 해당하는 2장의 도면만 올렸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