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NAVION 설계는 진작 끝났지만 지금에서야 제작을 하게 됩니다. 너무 늦게 글을 올리게 되어 죄송합니다. 사실 좀 더 완벽하게 설계하고 싶었는데 급하게 마무리한 감이 있습니다. 나중에 비행 실험까지 진행할 계획이라 설계에 부족한 부분은 너그럽게 이해해 주시기 바랍니다. ㅠ 우선 설계 사진 몇 장 보여드리겠습니다. 설계는 위의 이미지와 같이 진행되었고 노란색부분은 covering film이나 발사 1T를 붙인 것을 표현한 것입니다. 캐노피는 3D 프린터로 뽑았습니다. 내부 채움은 0으로 했지만 무게가 좀 나가서 나중에 경량화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 주 날개에 Le라고 네임팬으로 적어두었는데요. 랜딩기어 위치고 튼튼하게 항공합판을 사용했고 끝부분에 스트링거 보강을 해주었습니다. ..

주익 조종면 해석 이어 가겠습니다. 12. 플랩 피칭 모멘트 효과 (Flap pitching moment effectiveness, ${ { C }_{ { { M }_{ \delta F } } } }$)와 플랩 항력 효과 (Flap drag effectiveness, ${ { C }_{ { { D }_{ \delta F } } } }$) 그리고 에일러론 요잉 모멘트 효과(Aileron yawing moment effectiveness , ${ { C }_{ { { N }_{ \delta A } } } }$) 먼저 플랩 피칭 모멘트 효과 (Flap pitching moment effectiveness) ${ { C }_{ { { M }_{ \delta F } } } }$에 대해서 생각해봅시다. 플랩을 움직..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현재 NAVION 스케일 버전의 수치적 dynamics 및 simulation 작업 중에 있습니다. 사실 이 과정을 3D 모델링 전에 먼저 수행했어야 했지만 그 당시 Modern flight dynamics의 공부가 부족해서 수개월 공부를 거듭한 끝에 정리를 끝마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지금은 NAVION의 정확한 치수 등 수학적 계수 등을 정리하는 중입니다. 그런데 문제가 생겼습니다. NASA의 NAVION 실험 보고서와 Modern flight dynamics의 치수 등 parameter들이 약소한 차이로 다른 것을 확인했습니다. 아래 참고 사진을 봐주시기 바랍니다. 날개 면적 : ${ S }_{ w }=184{ ft }^{ 2 }$ 날개 Span : $b=33.4ft$..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NAVION 프로젝트는 끝나지 않았습니다. 일정보다 천천히 진행 중에 있으며 기다리시는 분들에게 죄송하여 최근 도착한 기체에 사용할 부품들에 대해서 간략하게 소개해드리겠습니다. 그리고 변수가 생겨서 날개는 constant airfoil wing으로 만들 계획입니다. 이유는 비행기를 손으로 계산해서 설계부터 해석까지 하기 위해서입니다. 원래 비행기를 해석 즉, 여러 기동에 대한 안정성을 해석하기 위해서는 비행기를 함수로 만들어 선형화를 해야 합니다. 하지만 airfoil이 날개 길이방향으로 똑같은 형상(twist angle, angle of attack 등은 상관없음) 이 아니면 CFD(Computional Fluid Dynamic)를 이용해서 컴퓨터 수치해석으로 지루한 과정을 ..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요새 시간이 없어서 작업을 많이 못했습니다.그래도 약속을 지키기 위해서 작업을 조금 진행했습니다.너무 피곤해서 진행사항만 간단하게 말씀드리고 글을 맺겠습니다. 우선 사진부터 보시죠 위 그림 1,2,3과 같이 에일러론의 디데일 한 부분을 작업하고 있습니다.일단 완성된건 아닙니다.이것저것 시도하고 있는데 지금까지 진행한 건 기존 리브 간격 사이에 리브를 하나씩 추가했습니다.아무래도 하중이 많이 작용하기 때문에 그렇게 했습니다.그리고 위 아래로 플랜킹(planking)이라고 하는 1T 발사 평판을 붙여서 강도를 더할 것이고 리브 앞전으로 항공 합판 3x5mm인스파 형태의 스트링거를 더하여 구조강도를 높일 것입니다.사실 트러스형태로 리브를 지그재그로 넣어주면 비틀림에 있어서 더 큰 강도..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요 며칠간 글을 못 올렸는데 작업은 계속하고 있었습니다. 사실 3차원 형상을 2차원 판자를 깎아 만드는 과정 즉, 제작과정에서 어떻게 하면 더 쉽게 만들 수 있을까를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이제 진전이 조금있으니 몇 가지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지금까지 진행된 사항을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림 5의 회색 부분은 날개의 뒷전(trailing edge)입니다. 뒷전은 보통 1T 발사나무를 이용해서 만듭니다. 레이저 커팅을 하든 CNC를 이용하든 발사판을 윗에서 아래로 가공하기 때문에 모델링 한대로 정확하게 만드는 것은 불가능합니다. 그래서 고민을 많이 해봤는데 결국은 리브(Rib)의 그림 5를 기준 오른쪽 면의 결합부에 딱 맞도록 만들었습니다. 빨간색 동그라미를 보시면 오른쪽..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오랜만에 카페로 비행역학 공부를 하로 갔었습니다. 커피 한잔 하면서 책을 읽으니 기분이 좋더군요 ㅎㅎ 그러다 문뜩 이런 생각이 들었습니다.올해 1년동안 쉬면서 뭘 하면서 보내면 좋을까?뭘 하면서 보내면 재밌을까? 이런 생각을 하다 결국 도달한 곳은 RC 비행기 만들기였습니다.당장 저에게 있는 건 Taranis 조종기와 2개의 모터밖에 없었기에배터리 충전기, 배터리, 서보모터, 수신기가 필요했고저는 연구를 하던 사람이라 [속도, 받음각, 피치, 피치 각속도, 고도, 옆 미끄러짐각, 뱅크각, 롤 속도, 요속도, 헤딩각]에 해당하는 비행 중에서 얻어지는 모든 데이터를 저장할 기억장치가기본적으로 필요하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갑자기 가슴이 뛰기 시작했습니다.최근 조금 우울했는데 다..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이번에 소개해드릴 것은 자작 rc비행기를 계획하시거나 즐기시던 분들을 위해서 한 사이트를 알려드리려고 합니다. https://aerofred.com/ AeroFred - Model Airplane Plans Sharing Community Download and Share free model airplane and boat plans. Featuring thousands of radio control, control line and free flight freely downloadable plans, 3views and blueprints for model builders. aerofred.com 위 링크로 들어가시면 다음과 같은 화면이 나오게 됩니다. 맨위에 사이트 로고가 ..

안녕하세요 정진센터입니다. 저를 포함한 많은 사람들이 RC비행기는 어떻게 만드는 지 많이들 궁굼해 하셨을 겁니다. 어떻게 하면 내가 혼자서 RC비행기를 설계부터 제작까지 할 수 있을까? 초,중,고등학생때까지는 기본적인 수학과 물리를 공부하면서 잠깐씩 나오는 비행기이론에 매료되어 뭔가 조금만 더 공부하면 비행기를 만들어 볼 수 있을 거라는 믿음이 생겼었던것 같습니다. 하지만 항공우주공학과에 들어와서 4년동안 공부를 했도 결론은 석사, 박사까지 가야된다는 말을 듣게 됬고 일부 교수님들은 자신도 비행기를 설계할 능력이 없다고 말씀하시기도 했습니다. 저는 절망에 가까운 실망을 감출수 없었습니다. 오랜 꿈을 금방 이룰수 있을 거라고 생각했는데 SCI급 논문을 40편식 써내신 교수님들 조차도 쉽게 만들 수 없다는 ..